제가 준비한 분류하기 활동지 눈,코,입,손 분류하기의 기준은 눈을 통해 볼 수 있는 것들을 분류하고 ,코로 통해 냄새를 맡을수 있는 것들에 대해 분류하고 ,입을 통해서 맛을 음미하고 먹을 수 있는 것들의 분류와 손을 이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한 분류하기 입니다.
이는 잔존기능 유지와도 상관이 있는 분류하기로써 일상생활에서 빠질 수 없는 것들로 뇌를 이용해서 생각하게 하고 과거를 떠올려서 자신이 직접 경험해 본것들에 대한 기억들과도 연관성이 짙은 것들로 준비하였습니다.
아래의 그림을 보시면 꽃 도안 안에 분류하도록 분류기준을 설정하였으며 중앙에는 눈,코,입,손 을 꽃잎에는 해당하는 것들을 분류해서 놓을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도안 준비는 아래와 같이 둥근 딱지 모양으로 오릴수 있도록 준비하였으며 배포해드리는 도안 칼러 그대로 출력해본것입니다.
위의 도안은 칼러로 출력한 것이도 흑백으로 출력해도 해상도가 어떨지 알기 위해 아래 출력물은 흑백으로 출력해 보았습니다.
흑백으로 출력해도 보다시피 해상도나 모양형태는 그대로 살릴 수 있으므로 활동 하실때 흑백,칼러 상관없이 출력하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위에 보시다시피 둥근 원을 따라 둥근 딱지 모형으로 오려두시면 됩니다.
가위질을 하는 동안 소근육을 사용할 수 있어서 뇌의 자극을 주며 도형모형을 살리며 가위질을 하는 동안 집중력도 향상되며 물건들의 그림을 보며 자신의 경험을 떠올릴수 있는 과거 기억력 향상으로 인해 잔존기능을 유지하도록 도움을 드리는 활동지입니다.
위 사진을 보시다 시피 활동하실때 제일먼저 분류 해야할것은 꽃의 중앙에 입,손을 저는 먼저 올려주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입으로 맛을 음미할수 있고 손을 이용해서 사용할 수있는 것들을 나누어 모아놓도록 하겠습니다.
손을 이용해서 사용할수 있는 도구를 나누어 모아 놓으면서 물건에 대한 이름과 사용용도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면 과거기억 출력 활동을 통해서 어떻게 사용하는것인지 더 정확해지며 그로 인해 일상생활속에서 도구의 사용방법과 자연스럽게 분류하기의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르게 활동을 해 볼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제가 배포해드리는 꽃도안을 각자 선호 하는 색으로 색칠을 해봅니다.
색칠하기를 통해서 색을 관찰하게 되고 선따라 색칠을 하는 동안 집중력 향상과 우울증 완화와 함께 마음을 편히 할 수 있는 활동 입니다.
위를 보시면 아시다시피 꽃도안에 칠해 놓은 색으로 인해 분류해놓은 물건들을 더 정확하게 확인해 볼 수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그럼으로 활동 시간에 본인이 과연 몇개를 분류했는지 갯수에 대해 인지할 수 있는 연산인지력도 향상 시켜주는 이점이 있습니다.
오늘의 분류하기 활동은 일상생활속에서 필요한 것들을 위주로 활동을 해보았습니다.
이로써 잔존기능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분류하기 활동을 하였습니다.
위의 사진을 보고 활동을 해보아도 순서를 잘 모르겠다고 하시는 분들은 아래의 활동 목적과 활동 순서를 한번 더 익혀서 활동해보시면 보다 쉽게 활동 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의 분류하기 목적은
1.도안을 보고 가위질을 하면서 소근육을 사용하여 뇌를 자극하는 활동이며
2.여러가지 물건들을 분류하면서 집중력 향상을 시켜주고
3.일상생활 속 도구의 사용법과 도구의 이름을 되새겨 보며 과거기억력 출력을 향상시킬수 있으며
4.꽃을 색칠하면서 우울증 완화와 편안함을 유지시켜줍니다.
활동순서
1.도안을 출력해서 활동 준비를 합니다.
2.꽃 도안을 제외하고 물건이 있는 도안은 둥근 모형대로 둥근 딱지 모양으로 가위질을 합니다.
3.꽃 중앙에는 눈,손,입,귀 중에서 각자 분류하고 싶어하는 것 부터 놓아두고 분류를 해봅니다
4.꽃 도안에 선호하는 색으로 칠합니다.
5.위의 2번과 3번 순서대로 활동을 합니다.
앞으로도 분류하기 활동을 위한 도안을 꾸준히 배포해 드릴 예정이오니 필요하신 활동이시면 사용해보십시오.
아래에 도안을 배포해 드립니다.
직접 활동 해볼수 있도록 유튜브에 동영상을 올려드렸으며 블로그에 활동사진을 올려드립니다.
인지활동 종이인형 (0) | 2023.07.18 |
---|---|
인지활동 규칙 (0) | 2023.07.17 |
인지활동 과일 빙수 색칠하기 (0) | 2023.07.13 |
인지활동 왕관 만들기 (0) | 2023.07.13 |
인지활동 첫번째 칠교. (0) | 2023.07.13 |